코알라
텐더민트(Tendermint) 합의 알고리즘 본문
비잔틴장애허용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블록체인은 텐더민트(Tendermint)가 있습니다. 텐더민트 비잔틴 장애 허용(TBFT; Tendermint Byzantine Fault Tolerant)은 코스모스(Cosmos)의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텐더민트는 작업증명(PoW) 합의 알고리즘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자 만들어졌습니다. 비트코인은 블록생성 상한선 시간인 10분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합의 알고리즘이 깨지고 체인이 포크됩니다. 상한선 시간을 10분으로 한 것은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입니다.
텐더민트도 시간이 설정되지만 진행속도는 실제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2/3이상이 합의에 도달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포크를 중단합니다. 선 합의, 후 블록생성 메커니즘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텐더민트 합의 엔진은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전송이 완전히 완료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텐더민트 합의 엔진은 합의 후에 블록이 만들어지므로 절대로 포크(Fork)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텐더민트 합의 엔진 기반의 블록체인은 지금까지의 모든 데이터를 내려 받지 않고, 가장 최근 블록만 가져와 사용해도 안전합니다. 이것을 라이트 클라이언트(Lite-client)라고 합니다. 모든 데이터를 내려받는 비효율은 선 블록생성, 후 합의 메커니즘을 가지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나 텐더민트는 선 합의, 후 블록생성 메커니즘을 가지기 때문에 최근 블록만을 가져와도 안전합니다.
더 읽을거리
2023.08.27 - [코스모스] - 코스모스(cosmos)
'코스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모스 생태계 (0) | 2023.08.29 |
---|---|
코스모스(cosmos) (0) | 202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