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알라
디앱(dApp), 댑 본문
디앱(DApp 또는 댑)이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약자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돌아가는 탈중앙화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디앱은 스마트 계약이 블록체인에 도입되면서 생겨났습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에 스마트 계약을 처음 도입했습니다. 고로 이더리움은 디앱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비트코인에는 스마트 계약이 없어서 디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조금 더 쉽게 말하면, 이더리움 디앱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이후 이더리움은 최초의 메인넷으로 무수히 많은 디앱들을 탄생시켰습니다. 디앱은 익명성, 탈중앙화, 분산화 등 블록체인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많은 소규모 블록체인 디앱이 이더리움 위에서 운영되고 있고, 그 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다음 가는 블록체인으로 꼽힙니다. 그러나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정보들이 그만큼 많아지면서 과거에 비해 전송 속도가 느려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더리움은 여러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디앱과 앱의 차이점으로 첫번째는 운영체제입니다. 아이폰은 iOS를, 갤럭시는 안드로이드를 사용합니다. 블록체인을 이러한 운영체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어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동되는지에 따라 이더리움 디앱, 이오스 디앱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계정을 생성할 때, 앱은 개인정보를 입력해 회원가입을 하고, 디앱은 메인넷의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해야 합니다.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며 암호화폐를 거래하기 위한 준비입니다.
디앱 개발도 앱 개발과 차이가 있습니다. 디앱 개발에서 스마트 계약이 메인넷에서 한번 실행되면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 오류가 생긴다면 스마트 계약에서 발견된 버그 때문에 사용자들의 암호화폐를 잃어버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앱은 빠르게 자주 업데이트 하는 것이 추세인 반면 디앱 개발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킹(Staking) (0) | 2023.08.17 |
---|---|
비잔틴 장군의 문제, 비잔틴 장애 허용(합의 알고리즘) (0) | 2023.08.15 |
51%공격 (1) | 2023.07.20 |
해시(hash), 해시파워(hash power), 해시레이트(hash rate) (0) | 2023.07.18 |
합의알고리즘, 합의메커니즘, 채굴(마이닝), PoW, PoS, DPoS (1) | 2023.07.06 |